주요사업

주요사업

프로그램 안내

교육혁신 전략 : 오메가(Ω) 교육시스템의 구축

2023 교육혁신 전략 : 오메가(Ω) 교육시스템의 구축

1오메가(Ω) 스쿨 설립 및 운영

오메가(Ω) 스쿨 설립 및 운영

2오메가(Ω) #1 트랙(창업학기제)

오메가(Ω) #1 트랙(창업학기제)

3오메가(Ω) #2 트랙(실리콘밸리 인턴십)

오메가(Ω) #2 트랙(실리콘밸리 인턴십)

4TEAM-Plus교육 인증 고도화 및 저변 확대

TEAM-Plus교육 인증 고도화 및 저변 확대

5온디맨드(On-Demand) 융합전공제 도입

온디맨드(On-Demand) 융합전공은 현재 융합 업무를 산업현장에서 담당하고 있는 동문 혹은 기업가가 주축이 되어, 학부생들을 위한 실질적인 실무지향적 ‘융합전공’을 기획·운영하는 제도로, 예를 들어 블록체인 스타트업을 창업하여 운영하고 있으면서 후배들에 대한 채용에도 관심있는 동문 A가 경영정보학부 교수 B와 주축이 되어‘블록체인 경영전공’을 디자인 함

교육혁신 전략 : 학문적·물리적 경계를 파괴하는 TEAM형 교육 혁신

교육혁신

TEAM교육 인증의

내실화 및 전교적 확산 핵심
  • 추진목표
    • 대한민국 고등교육체계의 새로운 표준을 제시하는 교육모델로서 우리나라 TEAM교육 인증의 위상 정립
  • 추진배경
    • 1주기에 성공적으로 정착하여 소기의 성과를 낸 TEAM 인증을 2주기에 내실화·고도화하여 교육 혁신의 효과를 극대화 함

    • TEAM 교육의 철학이 학내 전체로 확산되기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표준화된 관리 프로그램이 필요함

    • 인증 단계별로 교육과정을 차별화하고, 혁신적인 교육방식을 전공에 도입하여 전문역량을 배양함

  • 기대효과
    • TEAM교육 인증의 제도화를 통해 장기적으로 지속가능한 대학발전의 토대 마련

    • TEAM교육 인증제의 내실화 및 확산으로 국내 대학 교육혁신의 선두주자로 발돋움

  • 세부과제
    • 111. TEAM교육 인증 고도화
    • 112. 학부(과) 전공 특성화·차별화
    • 113. TEAM교육 인증 권장과목 확산
    • 114. TEAM-PBL
    • 115. TEAM-UP 교과목 개설
    • 116. 글로벌챌린지 프로젝트
    • 117. 진로 국민*진로동아리 활성화

기본기를 다지는

TEAM 교육과정 운영
  • 추진목표
    • ‘국민*人’은 어딜 가도 기본은 한다’는 확고한 인식을 대내외적으로 확산함

  • 추진배경
    •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심화되는 학생들의 학력격차 문제를 개선하자는 대내외적 요구가 있음

    • 교육과정에서 ‘응용’과 ‘적용’을 과도하게 강조하다보면 대학본연의 기본기 교육에 소홀해질 위험이 생길 수 있음

    • 이에 기본역량을 탄탄하게 다지는 교육혁신 프로그램을 꾸준하게 운영할 필요성이 대두됨

  • 기대효과
    • 꾸준히 제기되어 온 학생들의 기본역량 강화에 대한 전환적인 해결책 제시

    • 국민*人으로서의 자긍심, 학교에 대한 애교심 및 학습 성취감 제고

  • 세부과제
    • 121. 진로 S-TEAM 학생 학습지원 및 진로탐색
    • 122. P-TEAM 교수 역량 강화
    • 123. 국민*人 핵심역량과 맵핑된 교양과목 개설
    • 124. 글말교실 코칭
    • 125. AI·코딩 활용능력 고도화
    • 126. 일상회복 및 정신건강을 위한 K*-마음힐링
    • 127. 포스트코로나 교육인프라 고도화

경계를 뛰어넘는 TEAM형

실용융합인재 양성
  • 추진목표
    • 전공 지식의 토대 위에 타 전공(분야)과 융합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혁신인재를 양성함
  • 추진배경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우리 사회는 그 어느때 보다도 융합형 실용인재가 요구됨

    • 지난 1주기 사업에서 역점을 두어 큰 성과를 거둔 분야로 2주기에도 이를 더욱 고도화할 필요가 있음

    • 특히, 학문영역, 교과-비교과 온-오프라인을 넘어서 대학간 협력 프로그램을 과감하게 개발하여 혁신 동력을 강화함

  • 기대효과
    • 학문(전공)간, 온-오프간, 지역사회/산업체와의 지식적 융합을 시도하는 실천적인 교육 시스템 구축

    • 융합교육의 저반 확대와 학문(전공) 영역간 칸막이 타파로 지식의 외양 확장

  • 세부과제
    • 131. K*-융합학부 활성화
    • 132. 마이크로디그리 및 융합형 교과 활성화
    • 133. 대학간 협력(University Sharing) 융합교육
    • 134. Pop-Up 프로젝트

TEAM형 실용융합인재의

새로운 도전과 체험
  • 추진목표
    • ‘국민*人’의 무한한 도전과 체험을 통해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인적 역량 확보
  • 추진배경
    • 현장 중심의 체험 교육을 통해 학생들의 성장은 물론, 공동체 가치도 구현할 수 있음

    • 공동체를 위해 직접 행동으로 옮길 수 있도록 학생들의 도전을 장려하고, 도전의 결과 성공 뿐아니라 실패의 가치도 깨닫게하는 교육을 실현함

    • 현장 경험을 중시하는 문제해결형 교육방식은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실용융합인재를 양성하는 핵심 수단임

  • 기대효과
    • 우리대학의 인재상인 ‘도전하는 국민*人’으로서 도약의 발판 마련

    •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적합한 재능의 발현과 성취의 기회를 부여하는 인재양성 파이프라인 구축

  • 세부과제
    • 141. AI교수 및 XR 기반 첨단 교육
    • 142. 큐레이팅을 통한 융합인재 양성
    • 143. 국민* 도전 크리에이터 양성
    • 144. 진로 상담으로 ‘나’만을 위한 진로 찾기
    • 145. 진로 Junior CoREP 예비직무전문가 양성
    • 146. 진로 멘토와 함께 하는 진로설정

지원 체계

  • 제도적 지원
    • 혁신사업비 지출 절차 간소화 및 책무성 강화
    • 전공자율 선택을 뒷받침하는 학내 제도 개선
    • 교육체제 개편 및 학사구조 유연화
  • 행정적 지원
    • 인문기술융합학부(HAT)에 오메가(Ω) 스쿨센터 설립
    • 국민인재개발원에 Digital Education 기능 강화
    • 미래교육혁신 관련 부서 신설
  • 재정적 지원
    • 우수 성과 창출 학생에게 장학금 지원
    • 대학 재정 투입 조정위원회를 통한 국고사업 간 중복투자 방지 및 효율적 배분
    • 대응투자 개념의 교비 투입

기대효과

  • 복잡한 문제를 올바르게 정의할 수 있는 인재 양성
  • 다양한 인재와 협업할 수 있는 인재 양성
  • 자신이 맡은 일에 대한 동기 부여를 하는 인재 양성
  • 사회의 문제에 대한 참여적 협업적 해결책을 제시하는 인재 양성
  • 다양한 지식을 융합하여 새로운 미래가치를 창출하는 인재 양성
연구영역

Small Giant

특성화 연구지원
  • 추진목표
    • 특성화 분야의 연구경쟁력 확보로 4차 산업혁명이 요구하는 실용적 연구인재 양성
  • 추진배경
    • 상대적으로 불리한 외부환경 여건을 극복하여 특성화 분야 중심의 연구역량 강화

    • 특성화 분야의 첨단 실험설비 확충에 따른 학생들의 연구 및 실무 역량 배양

    • 특성화 분야의 우수 학부생들이 대학원에 진학하여 해당 분야 전문가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각종 연구 프로그램 지원

  • 기대효과
    • 학부생의 연구 참여 기회로 우수 연구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는 여건 조성

    • 첨단 연구시설·장비 공동활용을 촉진하고 미래 신기술 분야 첨단 연구장비를 활용할 수 있는 실무역량을 보유한 예비 연구장비 엔지니어 양성체계 구축

  • 세부과제
    • 211. UROP(학부생 연구참여 프로그램)
    • 212. 특성화 분야 연구인프라 확충
    • 213. 첨단 연구장비 엔지니어 양성
    • 214. 연구실 인턴십

지원 체계

  • 제도적 지원
    • 교원업적평가
    • 연구지원제도
    • 교과과정개편
  • 행정적 지원
    • 교원지원팀, 교무팀,
      정보시스템팀, 연구기획팀,
      연구관리팀, 단과대학
  • 재정적 지원
    • 융복합연구 연구비 지원
    • 학부생 연구프로그램 경비(운영비)지원

기대효과

  • 다원적이고 다변적인 사회변화를 대비하고 융복합 연구를 선도할 수 있는 연구 환경 조성
  • 학부생 R&D프로그램 활성화 및 학부생의 연구 참여 기회 확대를 통한 전공 창의성 개발과 문제해결능력 배양 및 대학원 우수인력 확보
산학협력영역

학생과 기업

상생의 취업 지원
  • 추진목표
    • 자기주도적 실천직무 지식 역량 강화를 통한 취업률 개선
  • 추진배경
    • 산업현장과 기업에서 직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능력을 갖춘 인재 필요

    • 노동시장과 교육, 훈련 과정 간에 존재하는 만성적 불일치 해소

    • 직무능력중심 채용 확산 트랜드에 적극 대비

  • 기대효과
    • 다양한 기업직무체험을 통해 일 경험이 취업으로 연결되는 효과 기대

    • 캠퍼스 리쿠르팅을 통한 취업 매칭 인원 확대 및 취업률 지표 개선

    • 핵심직무 역량 강화 교육을 통한 취업 경쟁력 확보

  • 세부과제
    • 311. 중견·중소기업 취업추천(K*-Hunting)
    • 312. CoREP 핵심직무역량 강화
    • 313. 채용연계 인턴십
    • 314. 직무체험 현장실습

도전하는 국민*人을 위한

체계적인 창업 지원
  • 추진목표
    • 도전하는 국민*人을 위한 체계적인 창업지원 개선
  • 추진배경
    • 1주기의 프로그램을 대폭 보완하여, 학생부터 교수까지 창업에 도전하는 구성원들을 모두 지원할 수 있는 체계 구축

    • 창업교육과 청년일자리 창출을 위한 캠퍼스 창업 전진 기지화

    • 창업의 아이디어 발굴에서부터 성장까지 모든 단계를 지원하는 전주기적 지원을 통해 역량 강화

  • 기대효과
    • 창업생태계 친화적 인프라 조성 및 확산

    • 문제해결 역량과 창업 소양을 겸비한 미래산업 인재 양성

    • 대학 창업교육과 투자의 연계체제 구축을 통한 기술기반 교수 및 학생 창업 촉진

  • 세부과제
    • 321. 스타트업 스프링보드
    • 322. 스타트업 아이디에이팅
    • 323. 스타트업 런칭
    • 324. 창업펀드 운용

TEAM형 인재 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인프라 구축
  • 추진목표
    • 실용인재 양성을 위한 산학협력 인프라 구축
  • 추진배경
    • 지난 1주기에 산업계와 대학이 긴밀하게 교류하고, 함께 인재양성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인프라를 성공적으로 구축

    • 1주기와의 연속성을 갖고 해당 인프라를 지속적으로 운영 및 강화

  • 기대효과
    • 메이커 스페이스 활용을 통한 시제품 개발 경험 습득한 (예비)창업자 발굴·육성

    • 학교기업을 통한 실무중심 현장실습 및 창업교육 내실화를 통한 학생 취·창업 역량 강화

    • 대학 보유기술의 성공적 기술사업화를 통한 산학협력 교육, R&D 선순환 및 고급 일자리 창출

  • 세부과제
    • 331. 학교기업 운영
    • 332. 캠퍼스 미니클러스터 및 산업단지 캠퍼스 거점 조성
    • 333. 기술지주회사 운영
    • 334. 메이커 스페이스 고도화

지원 체계

  • 제도적 지원
    • 산학협력·창업친화적 제도개선
      (산학협력(창업 전담)교수,
      교원업적평가 등)
  • 행정적 지원
    • 대학일자리본부(경력개발지원단, 창업지원단), 산학협력단, LINC+사업단,
      대학기술지주회사
  • 재정적 지원
    • 기업·지자체 투자
    • 기술지주회사 투자
    • 타 재정지원사업 예산 투입
    • 교비투입

기대효과

  • 산업·지역사회 현장에서 발견될 수 있는 문제를 자기 주도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을 대학 내에서 체험할 수 있는 최적의 교육환경 및 산학연 협력체계 구축
  • 일자리 미스 매칭 해소 및 청년 일자리 창출